티스토리 가이드

[티스토리] 블로그 세팅: 검색엔진 등록(구글 GOOGLE)

코코섬 2023. 12. 21. 00:00
[티스토리] 블로그 세팅: 검색엔진 등록(구글 GOOGLE)

    안녕하세요! 티스토리 블로그를 구글 검색 엔진에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티스토리 블로그는 다음에서는 잘 노출되지만, 다른 검색 엔진에서는 그렇지 않습니다. 

     

    INTERNET TREND 사이트에 따르면, 2023년 정보통신/IT 카테고리의 점유율에서 네이버가 50.95%, 구글이 46.36%를 차지하여 대부분을 선점하고 있습니다. 저 또한 개발 관련 정보를 찾을 때는 주로 구글을 활용하는 편입니다.

     

    블로그를 운영하는 데 있어 구글 검색에서 노출되는 것은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티스토리 블로그를 구글 검색에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다뤄보겠습니다.

     

    구글 검색 엔진 등록 방법

    티스토리의 경우 플러그인을 통해 진행할 수 있습니다. 

    [블로그 관리 > 플러그인] 메뉴를 클릭해 주세요.

    Google Search Console에 등록

    1. 구글 서치콘솔을 클릭합니다. 
    2. 계정 연결하기 버튼을 클릭하고 연결할 구글 계정을 선택하고, 액세스 요청을 수락합니다.
    3. 연결이 완료되면 적용 버튼을 클릭합니다.

     

    Google Search Console 세팅 

    1. 구글 서치콘솔을 클릭합니다. 
    2. "Google Search Console에 블로그가 올바르게 등록되었습니다." 옆에 바로가기 버튼을 클릭해 줍니다. 

     

    속성 확인

    1. 블로그의 URL이 적용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Sitemaps 등록

    [색인생성 > Sitemaps] 메뉴를 클릭합니다.

     

    Sitemap 제출

    🔖잠깐! Sitemap이란?
    Sitemap(사이트맵)은 웹사이트의 구조와 페이지 정보를 검색 엔진에게 전달하는 XML 파일입니다. 이를 통해 검색 엔진은 웹페이지를 효율적으로 찾아 크롤링하고 색인화할 수 있습니다. Sitemap은 페이지의 중요한 메타데이터와 최근 수정 정보를 제공하여 검색 엔진이 웹사이트를 더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색인화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블로그 플랫폼에서는 주로 플러그인을 통해 자동으로 관리되며, 구글 검색 콘솔과 같은 도구를 통해 등록하고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제출된 사이트맵 리스트에 sitemap.xml의 여부를 확인합니다. 
    2. 없을 경우 sitemap 입력 후 제출 버튼 클릭합니다.

    블로그를 구글 검색에 노출시키기 위해서는 Sitemap(사이트맵)을 등록하고 제출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티스토리 플러그인으로 등록하는 경우 sitemap이 등록되어 있습니다. 만약 없다면 사진과 같이 sitemap을 입력하고 제출 버튼을 눌러줍니다. 

     

    rss 제출

    🔖잠깐! RSS란?
    RSS(Really Simple Syndication)는 웹 사이트의 최신 정보를 쉽게 수집하고 공유하기 위한 표준 웹 피드 형식입니다. RSS 피드를 통해 웹사이트의 신규 콘텐츠를 빠르게 검색 엔진에 공지함으로써 노출이 빨라지지만, 좋은 콘텐츠와 효과적인 SEO 전략이 여전히 중요합니다. RSS는 도움이 되지만 최종적으로는 웹페이지의 품질이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1. rss 입력하고 제출 버튼을 클릭합니다. 

    만약 RSS의 상태가 성공이 아니더라도, 당황하지 마세요. F5를 눌러 새로고침하시면 성공 상태로 변경됩니다.

     

    색인 등록

    [URL 검사] 메뉴를 클릭합니다. 

     

    1. 활성화된 검색창에 블로그 URL을 입력합니다.

     

     2. 색인 생성 요청 버튼을 클릭합니다. 

     

    3. 팝업창이 기다리면 요청이 완료됩니다.

    [티스토리] 블로그 세팅: 검색엔진 등록(구글 GOOGLE)[티스토리] 블로그 세팅: 검색엔진 등록(구글 GOOGLE)
    팝업창

     

    구글 서치콘솔 등록이 끝났습니다. 색인 생성 요청은 1~2일이 소요된다고 합니다. 완료되면 검색 엔진에 노출되기 시작할 것입니다. 저는 19일에 등록했는데, 20일에 검색 엔진에 노출되기 시작했다고 메일이 왔습니다.

     

    메타 태그 등록

     

    마지막으로, 메타 태그를 등록해 주겠습니다. 

    🔖잠깐! 꼭 등록해야 하나요?
    사실 꼭 등록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해당 메타태그는 오히려 검색 엔진에서 조회하지 못하도록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네이버 웹마스터 가이드나 구글 검색 센터에 따르면 별도로 설정된 robots 메타 태그가 없다면 기본 설정 index, follow로 설정된다고 합니다. 
    불필요한 과정이긴 하지만, 확실한 것을 좋아하신다면 설정해 주세요.

     

    [블로그 관리 > 플러그인] 메뉴를 클릭해 주세요.

    1. 대시보드에서 "메타 태그 등록"을 클릭해 주세요.
    2. 이름에 robots를 입력하고 내용에 index, follow를 입력해 주세요. 
    3. 적용 버튼을 클릭해서 저장해 주세요. 

    robots 태그는 블로그의 SEO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index, follow"로 설정되어 있으면 해당 페이지의 내용이 검색 결과에 표시되고, 해당 페이지에서의 링크가 검색 엔진에 의해 탐색되어 다른 페이지의 인덱싱이 이루어집니다. 이를 통해 블로그의 다양한 콘텐츠가 검색 결과에 노출되고, 검색 엔진이 블로그를 효과적으로 탐색할 수 있습니다.

     

    고생하셨습니다! 구글 검색 엔진 등록을 위한 모든 과정이 끝났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네이버 검색 엔진 등록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